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설안전기사 2023년 3회 실기 완전복원 (필답형/작업형 중요도 총정리)

by 디자인 안전 2025. 6. 25.
반응형

2023년 3회 실기

목차

시험 개요 및 출제 경향

2023년 건설안전기사 3회 실기시험은 10월 14일부터 11월 5일까지 시행되었으며,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습니다. 이 시험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2년차에 해당하는 시기로, 법령 개정사항과 현장 적용 중심의 문제들이 강화되어 출제되었습니다.

 

2023년 3회 시험의 가장 큰 특징은 HAZOP 기법, 달기구 안전계수, FTA 기법 등 위험성평가 관련 문제가 핵심적으로 출제되었다는 점입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령 개정사항을 반영한 법령 문제현장 안전관리 실무 중심의 계산 문제가 균형있게 출제되었습니다.

 

필답형 완전복원 문제 및 해설

 

1번 문제: HAZOP 기법 가이드 워드 (4점)

문제: HAZOP 기법에 사용되는 가이드 워드(Guide words)에 관한 의미를 영문으로 쓰시오.

정답:

- (1) As well as (다른 공정변수 부가)

- (2) Parts of (부분적 실현)

- (3) Other Than (설계의도 불일치)

- (4) More (양적 증가)

 

2번 문제: 달기구 안전계수 (3점)

정답:

- ① 훅, 샤클, 클램프, 리프팅 빔의 경우: 3 이상

- ②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5 이상

- ③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달기와이어로프 또는 달기체인의 경우: 10 이상

 

12번 문제: 감전 사고 계산 (4점)

정답:

- ① 심실세동전류: 7500 mA

- ② 통전시간: 0.48 ms

 

작업형 완전복원 문제 및 해설

 

1번 문제: 추락방호망 설치기준 (5점)

정답:

- (가) 작업면으로부터 망의 설치지점까지의 수직거리는 10m를 초과하지 아니할 것

- (나) 추락방호망은 수평으로 설치할 것

- (다) 망의 처짐은 짧은 변 길이의 12% 이상이 되도록 할 것

 

2번 문제: 개구부 방호조치 (6점)

정답:

- 안전난간 설치

- 울타리 설치

- 덮개 설치

 

현장 경험 기반 실패 후 성공 사례

 

사례 1: 추락방호망 설치 기준 미준수로 인한 사고

실패 사례: 2023년 초 한 건설현장에서 추락방호망을 작업면으로부터 15m 지점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추락했으나 방호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 중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성공적 개선: 이후 해당 현장에서는 추락방호망 설치 체크리스트를 도입하고, 작업면으로부터 최대 10m 이내 설치, 수평 설치, 12% 이상 처짐 확보 등의 기준을 철저히 준수했습니다.

 

사례 2: 밀폐공간 작업 시 부적절한 보호구 착용

 

실패 사례: 2023년 여름 하수처리장 슬러지 청소 작업에서 작업자가 일반 방진마스크만 착용하고 작업하다가 황화수소 중독으로 응급실에 이송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성공적 개선: 사고 이후 밀폐공간 작업 시 반드시 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작업 전 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을 필수로 실시했습니다.

성공적 개선사고 이후이후 밀폐공간
작업 시 반드시공기호흡기 또는 송기마스크
착용을 의무화작업 전산소농도 및 유해가스 농도 측정
2023년3회건설안전기사실기필답형작업형

출제 경향 분석 및 학습 포인트

2023년 3회 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은 위험성평가 관련 문제가 강화되었습니다. HAZOP 기법, FTA 기법, 미니멀 컷셋 등 체계적 안전관리 기법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들이 다수 출제되었습니다.

 

또한 산업안전보건법령의 구체적 수치에 대한 문제가 많이 출제되었습니다. 달기구 안전계수, 추락방호망 설치기준, 화학설비 안전기준 등 법령에 명시된 정확한 수치를 암기해야 하는 문제들이 핵심을 이뤘습니다.

마무리 및 제언

2023년 3회 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은 이론과 실무의 균형, 법령 준수의 중요성, 체계적 안전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한 시험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현장에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바탕으로 한 문제들이 많아 실무 중심의 학습이 중요함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의 시험 준비에서는 단순 암기보다는 원리 이해와 현장 적용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과 연계된 안전관리체계 구축, 위험성평가 기법의 실무 적용, 법령에 명시된 구체적 기준의 정확한 숙지가 합격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건설안전기사, 2023년 3회, 실기시험, 필답형, 작업형

 

2023년 3회실기시험은
이론과실무의 균형
법령준수의능력
2023년3회건설안전기사실기필답형작업형

 

 

건설안전기사 2022년 3회 실기 완전복원 (필답형/작업형 중요도 총정리)

목차건설안전기사 2022년 3회 실기시험 개요필답형 시험 문제별 완전복원작업형 시험 문제별 완전복원현장 경험과 연계한 출제 포인트2025년 대비 합격 전략건설안전기사 2022년 3회 실기시험 개

odo01.tistory.com

 

 

건설안전기사 2022년 2회 실기 완전복원 (필답형/작업형 중요도 총정리)

목차실기시험 개요필답형 문제별 완전복원작업형 문제별 완전복원출제 포인트와 현장 적용 사례2025년 대비 학습 전략실기시험 개요건설안전기사 2022년 2회 실기시험은 필답형 14문제와 작업형

odo01.tistory.com

 

 

건설안전기사 2022년 1회 실기 완전복원 (필답형/작업형 중요도 총정리)

목차2022년 1회 실기시험 개요필답형 문제별 완전복원작업형 문제별 완전복원실패를 성공으로 이끈 현장 사례2025년 대비 합격 전략 2022년 1회 실기시험 개요건설안전기사 2022년 1회 실기시험은

odo01.tistory.com

 

 

건설안전기사 2025년 1회 실기시험 완벽 복원 해설 (필답형/작업형 중요도 총정리)

목차건설안전기사 실기시험 개요 및 출제기준2025년 1회 필답형 문제 상세 해설작업형 문제 핵심 포인트 및 대비법실제 현장 사례 기반 실패와 성공 분석합격을 위한 실전 학습 전략산업안전보

odo01.tistory.com

 

 

 

반응형